최근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혜택이 나오고 있으나 정부 혜택은 신청해야지만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미리 알지 못하여 신청하지 못하고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올해부터는 내가 직접 찾아서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내가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을 알려주는 서비스인 "혜택 알리미"가 시행된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내가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을 매번 검색하지 않아도 알아서 알려주는 "혜택 알리미" 서비스에 대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와 이용방법, 자주 묻는 질문까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혜택 알리미란?
혜택 알리미란? 2025년 1월부터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서비스로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개인의 상황에 맞춰서 자동으로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보를 미리 입력해 두면, 해당 정보에 맞춰서 정부에서 제공되는 혜택이 있는지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바로바로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소득 수준, 가족 구성, 거주 지역, 무주택 여부 등을 미리 입력해 두면 이에 맞춰 해당되는 정부 혜택이 있으면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제공하는 서비스
2025년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청년, 구직, 출산, 이사 등 4개 분야 1,100여 개의 정부 혜택에 대한 알림을 시작하였고, 2026년까지 3,600여 개의 정부 혜택을 제공하도록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2025년 1월 9일 기준으로 혜택 알리미를 통해서 1143개의 서비스를 알림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알림 서비스 수 | 알림서비스 예시 |
청년 | 136 | 청년주택드림(국토부), 청년월세 지원(서울·경남), 청년기본소득(경기) 등 |
출산 | 628 | 육아휴직급여(고용부), 첫만남이용권 지원(복지부), 산후조리비 지원(경기) 등 |
구직/실업 | 53 | 국민취업지원(고용부), 실업크레딧 지원(복지부), 여성구직활동 지원(강원) 등 |
전입 | 326 | 전입정착금 지원(경남 거창), 전입 이사비 지원(전북 김제) 등 |
출산 예정이 산모가 혜택알리미 서비스에 가입하고 신청해 두면, 아이를 출산해서 출생신고를 하면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해당 산모의 거주지, 가족관계 정보 등을 분석해서 신청할 수 있는 "출산 지원금"이 있는 경우는 신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혜택 알리미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이외에 내가 받을 수 있는 더 많은 혜택이 궁금하시면 정부 24에서 제공하는 보조금 24 메뉴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혜택 알리미에서는 알려준 서비스 신청 시 신청 결과도 함께 알려줍니다.
이용 방법
현재 별도의 앱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고, 은행 앱(신한은행, 기업은행)을 통해서 혜택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은행 앱을 설치하고 "혜택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추가로 접속하지 않아도 탈퇴할 때까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다.
![]() |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
애플 다운로드 |
![]() |
안드로이드 다운로드 |
애플 다운로드 |
현재 기업은행은 1월 10일부터, 신한은행은 1월 16일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계획
정부는 2026년 혜택 알리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3600여 개까지 확대하고, 제공하는 앱도 현재 신한은행과 기업은행 이외에 네이버나 카카오뱅크 같은 다수의 사용자가 있는 민간 앱에도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탑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혜택알리미 이용 요금은 무료인가요?
네, 혜택알리미는 정부가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혜택알리미에서 모든 정부 혜택 확인이 가능한가요?
현재는 제한적인 혜택을 확인할 수 있으나, 향후 2026년에는 3600여 개의 혜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혜택이 궁금하시면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2025년 나에게 맞는 정부 지원금 조회하는 방법 완벽 정리!!!!
▶2025년 장병내일준비적금 월 55만 원으로 증액!!! 가입조건부터 이자율까지 완벽 정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