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작년 대비 4인가족 기준 6.42% 증가하였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각종 복지정책 대상자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오늘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중위소득에 대한 소득 비율별 인정 금액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생계급여, 교육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차상위, 청년도약계좌 등 국가에서 제공하는 복지정책의 기준을 확인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기준중위소득 32% : 생계급여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32% |
1인 | 765,444 |
2인 | 1,258,451 |
3인 | 1,608,113 |
4인 | 1,951,287 |
5인 | 2,274,621 |
6인 | 2,580,738 |
기준중위소득 40% : 의료급여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40% |
1인 | 956,805 |
2인 | 1,573,063 |
3인 | 2,010,141 |
4인 | 2,439,109 |
5인 | 2,843,277 |
6인 | 3,225,922 |
기준중위소득 48% : 주거급여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48% |
1인 | 1,148,166 |
2인 | 1,887,676 |
3인 | 2,412,169 |
4인 | 2,926,931 |
5인 | 3,411,932 |
6인 | 3,871,106 |
기준중위소득 50% : 교육급여, 차상위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50% |
1인 | 1,196,007 |
2인 | 1,966,329 |
3인 | 2,512,677 |
4인 | 3,048,887 |
5인 | 3,554,096 |
6인 | 4,032,403 |
기준중위소득 75%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75% |
1인 | 1,794,010 |
2인 | 2,949,494 |
3인 | 3,769,015 |
4인 | 4,573,330 |
5인 | 5,331,144 |
6인 | 6,048,604 |
기준중위소득 100%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100%(기준) |
1인 | 2,392,013 |
2인 | 3,932,658 |
3인 | 5,025,353 |
4인 | 6,097,773 |
5인 | 7,108,192 |
6인 | 8,064,805 |
기준중위소득 150%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150% |
1인 | 3,588,020 |
2인 | 5,898,987 |
3인 | 7,538,030 |
4인 | 9,146,660 |
5인 | 10,662,288 |
6인 | 12,097,208 |
기준중위소득 200%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200% |
1인 | 4,784,026 |
2인 | 7,865,316 |
3인 | 10,050,706 |
4인 | 12,195,546 |
5인 | 14,216,384 |
6인 | 16,129,610 |
기준중위소득 250% : 청년도약계좌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의 250% |
1인 | 5,980,033 |
2인 | 9,831,645 |
3인 | 12,563,383 |
4인 | 15,244,433 |
5인 | 17,770,480 |
6인 | 20,162,013 |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 기초생활 수급, 의료 급여, 주거급여 등의 기준!!
▶2025 주거급여 신청 자격, 선정 기준, 지원 금액 총정리
▶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가입 방법 : 월 최대 3만 3천 원 지급 연 최대 9.54% 효과
반응형
댓글